[질문] 검증된 파이토치 플래임웍 , 텐서플로우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라이브러리 제공도 중요한데 활용예제도 아주 중요한데 인텔에서는 인텔에 최적화되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이토치 예제도 계속연구하고 공급해 주는지 궁금합니다.
파이토치는 인텔의 최적화가 계속 반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 빠른 적용을 원하신다면 인텔의 최적화 패키지 (Intel Extensions for PyTorch)가 있습니다.
오 인텔의 최적화 패키지가 따로 존재하는 군요...답변 감사합니다.
[질문] oneAPI에 대해 들은 뒤로 관련 내용들을 계속 파악 중입니다. Intel CPU를 잘 활용하기 위해 oneAPI 외에 더 파악할 내용 또는 oneAPI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있는지에 대해 의견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Intel CPU는 기존의 x86개발툴들을 계속 사용이 가능 합니다. (오픈소스, 인텔 패럴러/시스템 스튜디오...). 현재 인텔에서는 모든 툴들을 oneAPI로 통합하였습니다. oneAPI 를 이용하시면 CPU뿐만 아니라, GPU/FPGA/AI 가속기등의 SW 개발, 최적화에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문] 처리할 작업에 따라 GPU를 사용하는게 유리한 경우가 있고, CPU를 사용하는 게 유리한 경우가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떤 기준으로 구분해서 사용하면 될까요?
GPU는 빠른 응답속도가 장점이나 기존 장비에 추가해야하는 부담이 있고, CPU는 적당한 응답속도가 가능하면 활용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대량의 데이터를 적당한 시간에 처리하는 배치처리에도 효율성이 높습니다.
[질문] 오늘 주신 여러 답글들 중 흥미로운 답글들이 많이 보입니다. 응답속도는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적당"하다는 개념을 말씀하시니 응답속도가 너무 빠르면 안좋은 경우가 있음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아직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적당한 응답속도의 의미와 적당한 응답속도가 필요하여 CPU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빠른 응답속도를 제공하는 GPU를 사용하면 어떤 안좋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해 조금 더 설명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적당하다는 것은 서비스의 상황에 따른 개념입니다. 빠르면 빠를 수록 좋겠지만 그만큼 여유가 있다면 서비스제공자의 입장에서는 낭비의 요소가 생길 수가 있다는 점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질문] AI 개발자 입장에서는 CUDA 없이는 AI 개발을 할 수 없을 정도인데요, 인텔의 시장 재편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텔의 AI 가속기를 위한 GPU 현황은 어떻게 되는지요?
차세대 GPU인 Pontevecchio를 준비하고 있으며, CUDA는 oneDNN을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PyTorch/Tensorflow와 같은 AI프레임 워크에도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질문] 이 답글을 보고 Pote Vecchio GPU를 준비 중이신 것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준비 중이시라고 하시니 아직 판매 중은 아니실 것 같은데 인터넷 검색해봐도 아직 판매 관련 정보는 안보입니다. Ponte Vecchio 출시 예정일, Nvidia나 AMD와의 차별화 전략 등의 정보를 조금 더 공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올해 말 이후 Ponte Vecchio 출시 예정입니다. OneAPI 를 통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공합니다. (CPU,GPU,FPGA 등)
[질문] 인공지능 분야는 hw뿐만아니라 sw의 영역도 중요한데 이점에서 엔비디아의 Cuda 플랫폼은 개발자에게 편리성을 지원하는데 아주이상적이었는데 intel cpu기반의 al 서비스를 개발할 때 intel은 어떤 sw 지원이 가능한지요?
oneAPI Toolkit에 Intel xPU 에 최적화 되어 있는 AI Framework들과 SYCL based DPC++ 가 포함 되어 있습니다. 또한 CUDA를 DPC++을 convert 할 수 있는 Tool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DPC++/SYCL을 이용하시면 CPU/GPU/FPGA/가속기 모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 oneapi가 cuda를 위한 컨버트 툴도 포함되어 있군요...아주 좋네요...답변 감사합니다.
인텔의 강점 중 하나는 MKL 같은 라이브러리라고 생각하는 데,
GPU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 이를 활용하는 라이브러리도 포함되나요?
그렇다면 NVDIA 계열 GPU와의 호환성과 관련해서는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나요?
[질문] Citrix Cloud가 SaaS 형태로 서비스 제공시, On-Site에서 발생되는 보안사고 및 장애에 대해 현장 보안팀의 즉각적인 대응 및 조치가 가능한지요? 그리고, SLA도 체결할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발생하는 이슈에 대해서는 Citrix와 유지보수를 맡고 있는 파트너사가 같이 협업을 통해서 해결해 드리고 있습니다. Citrix Cloud는 기본적으로 SLA 계약을 하고 있습니다.
SLA 관련하여서는 다음의 링크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docs.citrix.com/en-us/citrix-cloud/overview/service-level-agreement.html
또한 Citrix의 서포트 체계 관련하여서는 하기 링크에서 더 자세한 내용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citrix.com/en-au/support/programs/
아하 그렇군요!! 회신 감사합니다~
[질문] 시트릭스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vdi를 이용하면 웹을 통한 관리가 가능해서 에이전트가 필요없을 것 같은데 웹을 통한 인증시 id로만 접근이 가능한지 아님 MFA로 구현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또 시스트릭스 클라우드도 애저나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하는데 그럼 인증을 2번 거치는 것인지 아님 1번의 인증이면 족한지 궁금합니다.
MFA 구현도 가능합니다. VM 접속 시 추가 인증은 필요없습니다.
예 그렇군요...vm접속시 추가 인증이 없어서 너무 좋네요..
[질문] laaS기반 VDI에서는 OS upgrade를 어떤 방식으로 업그레이드 하시는지요? 사용자 OS인 MS Win10의 EOS기간이 짧아져 고민스럽습니다!
(자료백업하여 옮기는 것은 쉽지만, Applicaton 재설치시 호환성이 체크가 너무 어렵습니다!!)
국내 VDI의 환경에서 모두 고민하는 포인트 입니다. Pool 방식 구성 및 App Layering 기능을 통해 OS 업그레이드를 이슈를 회피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Pool 방식 구성은 당사도 사용하고있어서 알고있는데... App Layering 기능은 무엇인지? 좀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App Layering은 OS, 앱등을 각각 별도의 레이어를 생성하여 구성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ttps://docs.citrix.com/en-us/citrix-app-layering/4.html
감사합니다. 확인해보겠습니다!!
코로나 오미크론 전이 바이러스의 시각화 데이터 분석화 ,마이크로 소프트 분석화화 했을때 바이러스에 저항력에 대응할 수 강력 바이러스 분석은 어떻게 나타났으며,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 shareplex 가 redo/ achive log를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혹시 redo/archive log에 문제가 생겼다면 복제는 불가능한것인가요?
Archive가 부분 유실 되었다면, Archive 백업본으로 다시 넣어주시고 프로세스를 기동하면 됩니다. 만약 Archive 복원이 불가능 하다면 해당 Archive sequence를 skip 은 가능 하나 해당 archive log에 기록된 DML들은 유실 되어 , Repair로 보정 해야 합니다.
질문] 폰테베키오의 기능중에서 업데이트 예
정이거나 새롭게 출시된 기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