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atar
    2018-05-30 이재석

    [질문] 최근 구글 aws ms 는 클라우드상에서 글로벌db(코스모스 db)로 분산 배포하여 백업 복구하고 있는데. 베리타스에서도 클라우드상 에서 여러지역에서 백업이 가능한지. 베리타스만의 장점과 차별점에 대해 궁금해요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클라우드환경이 구현이 되어있다고 하면 여러지역에 백업이 가능합니다. 베리타스의 장점이라고 하면 여러 클라우드 Vendor와 협업을 통하여 많은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5-30 박치규

    클라우드 백업시 SNAP 기반의 고속 VM 백업 및 파일단위 복구 기능과 애플리케이션 정합성 보장 데이터 보호 기능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VM과 같은 가상화 환경에서의 백업은 NetBackup에서 백업시 파일단위로 복구할 수 있게끔 기능을 활성화 시킵니다. Application에 대한 정합성 같은 경우에는 백업하기 전 정합성 기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 avatar
    2018-05-30 조정태

    [질문] 백업 데이타를 이기종 베어메탈에 복원 시 agent 설치 유무 및 복원 속도는 어떤가요? (V2P, V2V 등)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Bare Metal 복원시 Agent는 설치가 안되어 있어도 되나, 복원속도는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서 다릅니다. 저희가 예상하는 복원속도는 보통 백업시간의 1.5배에서 2배정도 예상을 합니다.


  • avatar
    2018-05-30 Eric Lee

    [질문] 저희가 여러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백업을 활용할 경우 속도 이슈가 없을까요?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데이터 용량에 따라 Network 속도 이슈가 있을수 있습니다만 관련하여 중복제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5-30 Eric Lee

    [질문] 기존 Netbackup을 쿨라우드로 promotion 가능한지요? 아니면 계획이 있으신지요?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NetBackup 클라우드용 라이선스는 별도로 없습니다. 기존 라이선스 활용하여 구성하면 됩니다.


  • avatar
    2018-05-30 김동규

    [질문] Accelerator 적용은 NetBackup Appliance를 도입해야만 가능한지요 ? 소프트웨어 기반이라면 기 운용중인 NetBackup의 업그레이드로 적용될 수 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만...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Accelerator는 Appliance 를 구매하지 않으셔도 해당 라이선스를 별도로 구매 하시면 구현은 가능 합니다만 스토리지 스펙에 성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5-30 실버잭

    로컬에 Full Backup 시간보다 클라우드 Full Backup 시간이 오래걸리지 않나요? DB Size는 약 500GB 정도 됩니다.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클라우드로 백업을 진행하게 되면 로컬에 백업받는 것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희 베리타스에서는 Accelerator 기능등과 같은 옵션을 사용하시면 백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5-30 박치규

    멀티 클라우드환경에서 클라우드 백업전략으로 애즈-어-서비스(As A Service) 환경의 구현이 일반적인데
    서비스형 백업(Backup as a Service)의 데이터 처리성능과 제공되는 데이터용량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처리 성능과 데이터 용량은 백업 데이터의 속성, 형태에 따라 달라서 정확한 수치로 설명 드리긴 어렵습니다.


  • avatar
    2018-05-30 실버잭

    처음에는 Full Backup을 진행할때 클라우드로 바로 백업을 진행하나요? 아니면 로컬 백업 후 클라우드로 전송한 다음 Incremental backup만 클라우드 백업이 되나요?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원하시는 형태로 가능 합니다. 저장소를 구성한 후 선택하는 형태라 원하시는 장소에 백업이 가능 합니다. 1차를 클라우드로 백업 가능하고 2차 백업도 원하시는 형태로 로컬이나 클라우드 쪽으로 선택 가능 합니다.


  • avatar
    2018-05-30 실버잭

    예전에 NetBackup을 사용했었는데 설정하는데 좀 복잡했어요. 클라우드 백업도 이와 비슷한가요?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클라우드 데이터를 백업 받으시게 되면 기존과 동일 하게 진행됩니다.
    클라우드에 저장을 하시게 되는 경우는 마법사를 통하여 쉽게 구성가능 합니다. 유투브에 데모 동영상도 제공하고 있어 쉽게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5-30 김수열

    [질문] SW방식의 암호화가 적용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백업하나요? 복구시 고려사항은 없는지요?

  • avatar
    2018-05-30 베리타스

    암호화 된 채로 백업 되고 그 상태 복원 됩니다. 암호화 문제로 인하여 이기종 복원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avatar
    2018-05-24 이지영

    [질문]스타트업으로 B2B 사업을 하고싶습니다. 애플리케이션에 상과없이 대여폭에 따라 과금을 하면 되는지요? 만약 속도가 안나온다면 한 고객에게만 속도를 늘릴수도 있을까여?

  • avatar
    2018-05-24 샤로니

    ER을 말씀하신다면 전용회선은 클라우드의 자원과 달리
    쉽게 속도를 낮췄다 높였다를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고정된 포트 속도가 존재합니다
    50, 100, 200, 300M 등


  • avatar
    2018-05-24 퍼랭이1호

    [질문] 비용이 문제겠지만 Express Route도 이중화를 해야 하나요?
    아님 Azure 에서 제공하는 이중화 솔루션을 쓰는건가요??
    ER 이중화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 avatar
    2018-05-24 세종텔레콤-하승수

    기본적으로 MS Azure Expressroute의 경우 이중화 제공을 기본으로 하며, 고객의 이슈 사항에 따라 단일 구성 혹은 이중화 전용회선 구성이 가능하십니다.


  • avatar
    2018-05-24 ho

    [질문]여러 SDWAN 제품과 비교하여서 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가장 큰 차별점,장점이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5-24 세종텔레콤-하승수

    MS 글로벌 네트워크은 실질적인 게런티된 보장은 안되나 안정적 B/W에 대한 이용가능이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의미로는 게런티 되지 않는 다는 것이죠. 고객이 SD-WAN 솔루션의 경우에도 Public Network 이용한다는 점이 가장큰 장점이자 단점일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 avatar
    2018-05-24 홍성우

    [질문] R사의 속도 증속기를 사용하는데 Azure 이용시 이 제품을 같이 써도 되는지? 아니면 필요없는지 문의드립니다.

  • avatar
    2018-05-24 샤로니

    국제전용회선에 대한 속도 이슈로 WAN가속기를
    많이 사용하시는데 효과가 적은 경우가 많지요.
    ER은 이를 대체하는 서비스는 절대 아니며
    MS의 자원을 우회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례로 봐야 할 듯 합니다. (SLA가 없습니다)
    WAN 가속기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세종텔레콤에는 글로벌가속 서비스가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 주십시오
    sharon@sejongtelecom.net


  • avatar
    2018-05-24 최승원

    네트워크는 속도가 제일 민감한 부분인데 온프로미스에 비해서 속도 부분에서는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5-24 세종텔레콤-하승수

    'On-prem ~ MS Azure'간 Expressroute를 이용한 전용회선의 구성 용량에 따른 상황 상황에 따른 의존이 될듯 합니다. MS Azure 내부의 속도의 경우 VM 사이즈에 따릅니다.


  • avatar
    2018-05-24 ChipHead

    언뜻 느낌에 이름이 세종텔레콤에서 "세종대황텔레콤" 으로 개명하면 회사가 훨씬더 강한 이미지와 함께 빠른 시장 성장이 가능할지 안흥ㄹ까? 싶습니다. ^^

  • avatar
    2018-05-24 세종텔레콤-하승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저희 회장님께 의견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 avatar
    2018-05-24 ChipHead

    North Europe 의 RTT 수치가 매우 높게 나오네요? 언뜻보면 Brazil의 RTT가 더 높을거 같은데 말입니다.

  • avatar
    2018-05-24 세종텔레콤-하승수

    Zone 3의 Brazil South의 RTT가 높게 나올듯 하였지만 실제 Azure ER망을 통해 확인시 위와 같이 확인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