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atar
    2020-12-16 권상득

    [질문] Servicenow를 검토한 적이 있는데. 가장 큰 도전 과제는 고객의 인프라에 대한 inventory가 외부로 갈수 밖에 없는 구조였습니다. 보안 정책에 대해서는 좀더 개선된 항목이 있을까요?
    그리고 온프라미스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했다고 들었는데.. 이부분에 대해서도 궁굼하네요.

  • avatar
    2020-12-16 Ryon

    먼저 서비스나우를 검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비스나우는 고객의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고객이 사용하시게 되는 instance 내에 Security center라는 모듈이 내포되어 있어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보안 표준을 기반으로 인스턴스의 현재 규정 준수 수준을 쉽고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https://www.servicenow.kr/products/instance-security-center.html) 또한 서비스나우는 ISO 27001을 비롯하여 각종 보안 인증 및 미국방성의 보안 인증도 받은 바 있습니다. 온프라미스 형태로 구성은 가능하시나 SaaS 방식에 비해 여러가지로 검토 및 고려 사항들이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추후 연락을드려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vatar
    2018-10-12 김성환

    [질문] 서버리스 컴퓨팅이 서버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서버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 같은데 마일 서버의 다운이나 function의 다운이 발생 되었을때의 해결책과 방지책 그리고 책임에 대해서는 명확히 구분이 가능 한지요?

  • avatar
    2018-10-12 애저그루2

    Functions 는 Cloud 서비스이니 생각보다 훨씬 안정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SLA 정책은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azure.microsoft.com/en-us/support/legal/sla/functions/v1_0/


  • avatar
    2018-10-12 이세원

    [질문] 서버리스가 단지 개발시 필요한 함수위주로만 기능이 있는게 아니라 백엔드와 마이그, 백업 등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것 같은데 아키텍처적으로 설명을 듣고싶네요

  • avatar
    2018-10-12 jin-sy

    하단 링크를 참조해주십시요.

    Azure의 서버리스
    https://azure.microsoft.com/ko-kr/solutions/serverless/

    Functions
    https://azure.microsoft.com/ko-kr/services/functions/

    Azure 참조 아키텍처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architecture/reference-architectures/


  • avatar
    2018-10-12 이세원

    [질문] 서버리스 자체적으로 시장이 활성화되진 않은것 같은데 단독으로 사업화보단 결국 IaaS의 전체적인 전환이 필요한게 아닌지요? 타 서비스와 연동되는것도 많은듯 한데 Lock-in의 요소로 쓰이는건지요?오픈소스를 썼다고 하셨는데 이부분도 궁금하네요

  • avatar
    2018-10-12 jin-sy

    단독 또는 IaaS 전체적인 전환은 해당 서비스의 속성과 개발 방향, 비지니스 영향등에 따라 적합성, 향후 계획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는 타 서비스 연동과 더불어 어느정도의 고유한 제한 사항등도 검토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기타 오픈 소스 관련 부분은 하단 링크를 참조해주십시요,

    * https://azure.microsoft.com/ko-kr/overview/choose-azure-opensource/
    * Migrating an open source PaaS solution to Azure
    https://www.microsoft.com/itshowcase/Article/Content/925/Migrating-an-open-source-PaaS-solution-to-Azure


  • avatar
    2018-10-04 윤영식

    [질문]SDN 및 NFV와 호환하지 않는 기존시스템을 수용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 avatar
    2018-10-04 Checkon

    Nuage는 "7x50 SR(구 Alcatel-lucent, 현 Nokia)" 라우터 장비와의 연동을 통해서 Nuage에서 생성된 Overlay Network을 VRF(VPRN) 터널로 바로 망연동이 가능합니다. 즉 라우터에 연결된 망이면 바로 Overlay Network과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 avatar
    2018-10-04 이재진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킹 방식은 아무래도 컴퓨팅파워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하드웨어(ASIC)기반 네트워킹 방식 대비 성능이슈가 존재할것 같습니다. 해당 이슈를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avatar
    2018-10-04 Checkon

    해당 성능이슈를 극복하기 위해서 SR-IOV, DPDK, VXLAN offload 등을 적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avatar
    2018-10-04 ho

    [질문]NFV와 VNF를 활용하여 가상화된 Overlay SDN 구성을 한다면, HW장비의 OS버전 연동의 제한점과 관리 tool에 대한 점이 궁금합니다.또, 장애 시 복구 방법과 시간에 대한 내용도 궁금합니다.

  • avatar
    2018-10-04 Checkon

    Nuage의 Overlay SDN은 Hardware Fablic 자체의 SDN이 아닌 HyperVisor레벨의 SDN입니다. 즉 물리장비 레벨의 통신만 이루어지면 이기종 간의 Overlay Network을 구성해줄수 있기 때문에 HW장비의 OS버전연동은 상관이 없습니다.


  • avatar
    2018-09-13 최재규

    Triple + Parity RAID 경의 장애 시 디스크 rebuilding 수행 시 연산 많아서 복구 하는데 시간 소요는 오래 걸리지 않나요?

  • avatar
    2018-09-13 oops79

    실제 사례에서 1TB SATA디스크 장애로 교체 시 rebuilding 완료까지 30분 걸렸습니다.


  • avatar
    2018-09-13 윤미현

    [질문]조달에도 등록되어 있나요? 님블 하이브리드 스토리지는 애플리케이션중에 어느용도로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실시간 메모리 DB에도 효과적일거 같은데요

  • avatar
    2018-09-13 oops79

    하이브리드 스토리지는 OLTP성 랜덤I/O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SSD를 read cache용으로 사용하기때문에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는 SSD에 올라와 있어서 빠른 응답을 제공하지만 DW와 같은 전체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경우에는 올플래시 스토리지를 적용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 avatar
    2018-09-13 김정웅

    질문] 제품 라인업에서 하위모델에서 상위모델로 HW교체 없이 업그레이드가 가능한지요?

  • avatar
    2018-09-13 oops79

    컨트롤러 교체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 avatar
    2018-09-13 ho

    [질문]오브젝트 스토리지 파일 시스템을 위한 분산서버/분산어플리케이션,클러스터,네트워크,분산DB 등의 구조가 산업별로 다르게 구성이 되는지 궁금합니다.(예:정형데이터 비정형 데이터가 더 많은 산업 등)

  • avatar
    2018-09-13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산업별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어떤 부분이 중심이 되느냐에 따라 주안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9-13 이지영

    [질문]기존 클라우드 운영중이라면 히타찌 제품으로 마이그레이션 한다면 기존제품보다 얼마나 효율성 및 tco, roi 가 절감될까요?

  • avatar
    2018-09-13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요율적 및 비용 절감 부분은 기존 시스템에 대한 내용 파악이 필요한 부분이라 필요하시면 별도로 지원해 드립겠습니다.


  • avatar
    2018-09-13 ho

    [질문]비정형데이터와 정형데이터 중복 압축하는 방식은 다른지 궁금합니다.만약 다르다면 중복 압축 효율에 의해서 복구 시간도 차이가 생기는지도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9-13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중복제거 방식도 블록 방식 /파일 방식으로 구분 되는데 대부분 비정형데이터 부분은 파일 중심으로 정형데이터 부분은 블록 방식으로 적용 됩니다.
    중복 제거 및 압축은 파일의 방식 및 형식에 따라 다를수 있습니


  • avatar
    2018-09-13 성민유

    [질문]스토리지를 사용하다보면 내용연수가 너무 오래되서 디스크추가가어렵고 개별적으로 구입하기도 까다로운데 새로사면 좋지만 마이그레이션이 염려됩니다. 해결책은 있는지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avatar
    2018-09-13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장비의 EOSL 때문에 어쩔수 없이 데이터 저장 장치를 바꿔야 할 부분에서 고민이 많은신데요. 저희 제품은 별도의 장비가 아닌 내부 시스템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를 이관 할수 있는 방식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국내 사례도 있습니다.



  • avatar
    2018-09-13 이지영

    [질문] 비정형데이타에 개인정보가 있다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구별하여 따로 관리할 수 있을지요>

  • avatar
    2018-09-13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별도로 분류하여 보관하는 방식은 지원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파일에 대한 개인 정보에 대한 추출은 별도의 히다찌솔루션을 통해서 검색 추출 가능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9-13 임병준

    [질문] 퍼블릭클라우드의 오브젝스토리지(S3 등) 내 대용량 데이터를 오늘 소개해주신 스토리지로 쉽게 마이그레이션하는 툴이 있는지요?

  • avatar
    2018-09-13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데이터를 퍼블릭클라우드 시스템에 넣을 때와 데이터를 받을때 모두 지원 하는 툴및 방식이 있습니다.


  • avatar
    2018-09-13 김홍준

    [질문]문서파일관리를 함에 있어 권한 특히 소유권의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이부분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는지요?

  • avatar
    2018-09-13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고객사에서 사용하시는 권한 솔루션과의 협의를 통하여 지원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