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atar
    2020-12-16 권상득

    [질문] Servicenow를 검토한 적이 있는데. 가장 큰 도전 과제는 고객의 인프라에 대한 inventory가 외부로 갈수 밖에 없는 구조였습니다. 보안 정책에 대해서는 좀더 개선된 항목이 있을까요?
    그리고 온프라미스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했다고 들었는데.. 이부분에 대해서도 궁굼하네요.

  • avatar
    2020-12-16 Ryon

    먼저 서비스나우를 검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비스나우는 고객의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고객이 사용하시게 되는 instance 내에 Security center라는 모듈이 내포되어 있어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보안 표준을 기반으로 인스턴스의 현재 규정 준수 수준을 쉽고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https://www.servicenow.kr/products/instance-security-center.html) 또한 서비스나우는 ISO 27001을 비롯하여 각종 보안 인증 및 미국방성의 보안 인증도 받은 바 있습니다. 온프라미스 형태로 구성은 가능하시나 SaaS 방식에 비해 여러가지로 검토 및 고려 사항들이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추후 연락을드려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vatar
    2019-06-20 김기태

    hypervisor KVM기반이라면 뉴타닉스 HCI에 올릴때 지원이 가능하신지요?

  • avatar
    2019-06-20 hisunah

    뉴타닉스 HCI 내에 기본 제공하는 AHV하이퍼바이저가 KVM기반이므로, 기존 KVM에서 운영했던 VM에 대한 이식성이 매우 좋습니다.


  • avatar
    2019-06-20 gfd10

    동일한 규모를 전통적인 아키텍쳐와 뉴타닉스 아키텍처를 비교한다면, 뉴타닉스가 경쟁력이 있는 편인가요?

  • avatar
    2019-06-20 hisunah

    운영 관점에서 전통적인 아키텍처는 4~5년 주기의 인프라 교체시기와 워크로드 확장성을 미리 감안하여 인프라를 도입하기 때문에 초기 도입비용이 큰 반면에,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는 확장성이 매우 유연하므로 필요한 만큼 노드단위로 증설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향후 일반 인프라 뿐 만 아니라, 기업 내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을 위한 표준 플랫폼으로 많은 도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avatar
    2019-06-20 한개의섬

    [질문]가상화된 하이퍼 커버지드 환경에서 데이터보호 및 복구 백업에 대한 방안,솔루션은 무엇이 있는지요? 또한 HCI기반의 백업을 제공하는 타 업체와는 어떤 차별점이 있느지요?

  • avatar
    2019-06-20 hisunah

    뉴타닉스 분산 스토리지내에서 자체 제공하는 스토리지 스냅샷을 이용하여 로컬에 백업을 받거나 3rd Party 백업솔루션과의 연계구성 또한 가능합니다.


  • avatar
    2019-06-20 고대원

    저는 대형 SI사 직원으로, 최근 금융 및 제조사 의 노후교체 및 이전 사업에 HCI와 기존의 개별 인프라를 고민하다가 각 엔지니어가 친숙한 개별 인프라로 설계&구축하고 있습니다. 설계시 HCI 경우, 기존 대비 강점(구축, 운영 관점에서)과 설계시 중점을 둬야하는것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avatar
    2019-06-20 hisunah

    이전의 레거시 아키텍처처럼 서버, 스토리지, 가상화 등의 모든 스택을 개별 구성할 필요없이 하이퍼컨버지드를 통해 스토리지, 서버, 가상화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축 측면에서는 초기 구축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다는 장점과 있고,

  • avatar
    2019-06-20 hisunah

    운영 측면에서는 용량 증설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와 같은 구성 변경에 관한 작업 시, 서비스 운영중에도 간편하게 확장, 변경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avatar
    2019-06-20 hisunah

    설계 시 중점사항은 기존의 레거시 아키텍처와는 다른 방식, 분산 스토리지 아키텍처로 구성되기 때문에 하이퍼컨버지드를 위한 전용 10Gb 네트워크에 대한 사전 설계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 avatar
    2019-06-20 Louis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 및 사설 클라우드와 호환이 되는지요?

  • avatar
    2019-06-20 hisunah

    네,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를 통해 기업의 프라이빗 인프라를 퍼블릭 클라우드처럼 손쉽게 운영가능하도록 관련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고, 기업내에에서 구성된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를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활용하고 퍼블릭 클라우드와의 연계 또한 가능합니다.


  • avatar
    2019-06-05 masewonj

    linux에 sql server 구성시 기존 windows 기반대비 제약사항은 어떤게 있나요?

  • avatar
    2019-06-05 Dongho Lee

    https://docs.microsoft.com/en-us/sql/linux/sql-server-linux-release-notes?view=sql-server-linux-2017#Unsupported



  • avatar
    2019-06-04 취업준비생

    mssql 이 아니라 오라클의 rac 같은 기능입니다. mssql 에는 Replication 이네요

  • avatar
    2019-06-04 락플레이스_pg2

    오라클의 RAC의 경우 하나의 Shared Volume으로 사용하지만
    PostgreSQL의 경우 멀티 Active 서버로 이중화 구성이 불가능합니다.


  • avatar
    2019-06-04 ChipHead

    질문: 예전에 나사에서 화성탐사선시 사용한 디비가 postgresql인걸로 압니다. 기술적으로 우수할텐데 Mysql이 더 인기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avatar
    2019-06-04 락플레이스pg

    postgresql 은 기능적으로 더 우수할 수 있으나, Mysql 에 비해 replication설정에 대한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update에 대한 성능이 mysql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ostgresql의 vacuum 기능으로 인하여 성능이 중요한 서비스의 경우 mysql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avatar
    2019-06-04 ChipHead

    명쾌한 답변 감사합니다. Thumb up.!!!


  • avatar
    2019-06-04 짱가

    [질문] mssql 에서의 linked server 기능같은것이 있나요? 닷넷 으로 개발시 필요한 ado가 있나요?

  • avatar
    2019-06-04 락플레이스_pg2

    -> postgresql 오픈소스에서 제공하는 이기종간의 서버는 dblink extesnion을 제공하지만 제한적이며,
    postgres_fdw extension을 사용하여 외부 postgresql 서버에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로 닷넷으로 개발시 필요한 ado가 제공됩니다.


  • avatar
    2019-06-04 김수열

    [질문] 권고값 중에 확인필요는 뭔가요?

  • avatar
    2019-06-04 allo

    확인필요는 사용자가 직접 판단후 설정해야 하는 부분으로 보시면 됩니다.



  • avatar
    2019-06-04 짱가

    [질문] mssql처럼 쿼리속도 찾는 툴이 내장되어 있나요?

  • avatar
    2019-06-04 락플레이스pg

    SQL trace같은 기능을 말씀하시는 건지 모르겠으나, postgresql은 쿼리에 대한 history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slow query에 대한 파라미터 설정으로 DB 로그에 로깅이나, ddl, dml 구문의 로깅 설정은 가능합니다.



  • avatar
    2019-06-04 장문기

    RDBMS에서 스케일 아웃 또는 멀티 마스터를 쓸 수 있을까요?
    RAC같은...

  • avatar
    2019-06-04 락플레이스pg

    오픈소스로는 그러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2ndQuadrant 나 EDB 같은 PostgreSQL기반 상용제품에서는 멀티 마스터 기능이 가능하나 안정성 문제 때문에 국내 레퍼런스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avatar
    2019-06-03 모모

    [질문] 하위 버전에서 상위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 할 때, 빠른 방법과 안전한 방법이 있을 듯 한데요. 버전에 따른 단계별 마이그레이션 방안이 궁금합니다.

  • avatar
    2019-06-03 jmlim

    Azure PaaS의 버전업그레이드를 말씀 하시는 건가요?


  • avatar
    2019-06-03 짱가

    [질문] HA 기능이 있다고했는데요. 몇개의 slave 서버를 구성할수 있나요?

  • avatar
    2019-06-03 아이린즈

    Azure Database for MySQL은 PaaS서비스로 별도 HA구성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avatar
    2019-06-03 짱가

    [질문] 버전이 다른 백업파일도 최상위버전에서 복구가 가능한가요?

  • avatar
    2019-06-03 jmlim

    아닙니다. 백업 이전에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시고 백업을 해주셔야 합니다.(메이저 버전은 동일해야 합니다.)


  • avatar
    2019-06-03 최한열

    대용량일때도 온라인 마이그레이션방식이 사용가능하다면, 굳이 덤프받아 옮기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 avatar
    2019-06-03 jmlim

    DMS의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 avatar
    2019-06-03 아이린즈

    덤프 방식과 온라인 마이그레이션 방법을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