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atar
    2023-11-15 심사원

    [질문]보안관리체계를 사내에서 구성할 때 개발업무(DEV)와 운영업무(OPS)를 동일한 팀이나 동일한 직원이 하지 않도록 분리하는게 기본원칙인데요 DevOps는 이런 대원칙을 위반하는 거로 보이는데요 이에 따른 관리적 보안 위험과 취약성을 어떻게 최소화해야하는지와 인증에서 요구하는 증적을 확보하는 사례가 궁금합니다

  • avatar
    2023-11-15 SUSE 코리아

    DevOps는 개발(Dev)과 운영(Ops)의 결합을 통해 더 빠르고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를 목표로 합니다.
    전통적인 보안 관리 체계에서는 개발과 운영을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DevOps는 이러한 경계를 허물고 협업과 통합을 강조합니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험과 취약성을 최소화하고 인증 과정에서 필요한 증거를 확보하는 방안에 대한 몇 가지를 살펴본다면

    관리적 보안 위험 최소화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 (RBAC)
    자동화된 보안 프로세스
    지속적 모니터링과 감사
    정책 및 절차의 명확화
    보안 문화의 조성

    인증에서 필요한 증거 확보
    문서화된 정책 및 절차
    감사 로그 및 보고서
    보안 교육 및 사용자 인식 프로그램 적극 도입
    CI/CD 파이프라인 내 보안 통합

    이정도를 설명드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 avatar
    2023-11-15 심사원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다만 개발과 운영을 동일한 직원이 수행하던 직원이퇴사하거나 악위적인 행위를 할수가 있는 상태이므로 안심할 정도의 예방책으로 보기에는 부족한 게 현실이고 실제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걸로 압니다 개발과 운영을 분리하는 건 과거의 문화가 아니라 과학적인 이론에 근거한 원칙으로 알고 있으며 ,서비스 개발과 바즈니즈를 우선시하는 문화애서 비롯된 개발방법론이 DevOps라서 이 방법론이 과학적으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개발과 운영을 분리한 업무체계가 필요해 보이네요



  • avatar
    2020-09-22 진순환

    중앙관리서버의 위치는 카스퍼스키 내 위치 하는 건거요 ?

  • avatar
    2020-09-22 이항로 지메일

    중앙관리서버는 클라우드내에 위치하고 웹 기반으로 접근 가능한 타입, 온프레미스에서 별도로 설치하여 관리하는 타입 2가지 입니다.


  • avatar
    2020-09-22 첫마음

    [질문]서버 이상징후 모니터링의 경우 서버 보안과 EDR 기능들과도 유사해 보이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 합니다.


  • avatar
    2020-09-22 Wor

    [질문] 사업 연속성은 어떻게 해결 되고 있나요 ? 심각한 공격,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셧다운 안해도 전부 다 무사 할까요 ?


  • avatar
    2020-09-22 FBI

    [질문] IT환겨에서 서버 통합의 장점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 avatar
    2020-09-22 카스퍼스키.

    서버의 환경을 통합하여 관리할 경우 관리 리소스 부분 및 보안 정책 관리 등 관리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 avatar
    2020-09-22 automan

    [질문] URL을 통해 인증 피싱사이트로 유인하는 경우에 대한 대응 방안은 어떤 것이 있나요? 그리고 이미 활성화된 메일 URL에 대해 대응하는 솔루션이 있나요?


  • avatar
    2020-09-22 한지원

    [질문] VMware에서 SVM을 통하여 Agentless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요. SVM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적정 서버 수량은 얼마나 되는지요?

  • avatar
    2020-09-22 이항로 지메일

    이성식 부장님이 Q&A에서 답변을 드리거나 세미나 종료후 이성식 부장님의 도움을 받아 적정 서버 수량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avatar
    2020-09-22 진순환

    카스퍼스키의 뜻이 무앗인가요 ?

  • avatar
    2020-09-22 이항로 지메일

    한국에 안철수님이 창업하신 안랩이 있듯이 러시아에는 유진 카스퍼스키가 22년전 창업한 카스퍼스키 랩이 있습니다. 현재는 브랜드를 카스퍼스키로 변경했으며 전세계 3억개의 라이선스를 판매하고 있으며 약 1년에 9000억 매출을 내는 글로벌 IT 보안 기업입니다.


  • avatar
    2020-09-22 진순환

    가상화전용 백신을 두기 위해서는 기존의 서버별 백신이나 보안 프로그램은 더 이상 필용 없는 건가요


  • avatar
    2020-09-22 윤수현

    [질문]보안가상머신의 라이센스는 어떻게 되나요? svm 마다 별도 라이센스인가요?

  • avatar
    2020-09-22 이항로 지메일

    KHCS는 VM인 경우 VM 갯수로 판매하며 프라이빗 데이터 센터에 사용하는 경우는 CPU 개수로 라이센싱 가능합니다.


  • avatar
    2020-09-22 이세원

    [질문] 어느 OS를 쓰던지 상관없다고 하셨는데 리눅스, CentOS, 윈도우 등 다 지원하나요?

  • avatar
    2020-09-22 카스퍼스키.

    네 맞습니다.
    리눅스, Cent OS 는 Kaspersky Linux 제품으로 Window OS 는 Kaspersky Window 제품으로 지원 합니다.
    KHCS(하이브리드 제품) 을 구매하시면 어떤 제품을 사용하시던지 전부 사용이 가능 합니다.


  • avatar
    2020-09-22 진순환

    OS별 서버의 특성이 있는데 하나의 통합솔루션으로 모든 서버의 통합 운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 인가요 ?

  • avatar
    2020-09-22 이항로 지메일

    KHCS는 각각의 OS 환경에 맞춘 제품이 제공되며 전체 수량에 대해 어느 OS를 쓰시던지 상관이 없습니다.

  • avatar
    2020-09-22 이항로 지메일

    1개의 서버에 어떤 OS를 쓰시더라도 1개의 KHCS 라이센스로 대응 가능합니다


  • avatar
    2020-09-22 박치규

    [질문] 보안관제 플랫폼 운영시 커스터마이징 보고서 작성도 가능한가요?


  • avatar
    2020-09-22 똘레항스1

    [질문]서비스나우의 플래폼 구축만 하면 디지털 혁신이 자연스럽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지, 어떻게?
    서비스나우의 플래폼 구축을 위해서 사전 준비 사항은 무엇이 있는지,
    통상 구축 기간이 어느정도 소요되며, 가시적인 성과를 낼수 있는 시기는 구축후 어느정도 되는지요.

  • avatar
    2020-09-22 Ryon

    [서비스나우]서비스나우 만으로 디지털 혁신이 이루어진다고는 감히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다만 서비스나우가 가진 Best Practice, user experience를 쉽게 디지털화할 수 있는 low code 기반의 app 개발 툴, workflow 등등을 이용하여 쉽게 타 솔루션과 connection하고 필요한 app을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플랫폼 구축의 경우, 타 프로젝트 사례(ITSM)를 바탕으로 컨설팅 및 구축(10-12주)을 포함하여 3-4개월 정도가 예상됩니다만...이는 고객이 도입하시고자 하는 범위와 customizing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avatar
    2020-09-22 방극민

    (질문) 도입시 가장 고려해야할 사항은 무엇이며, 비용 절감 요소는 무엇이 있을까요?

  • avatar
    2020-09-22 Ryon

    [서비스나우]서비스나우는 SaaS 시스템으로 수많은 고객분들의 Best Experience를 기반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ITSM의 경우 ITIL V3.0 을 기반으로 다양한 Best Practice 가 내재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운영 편의성 기능(수백개의 대시보드, Report, case 등등)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분들께서는 Cstomizing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않으시더라도 쉽고 빠르게 시스템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SaaS 이므로 별도의 H/W 비용 및 운영 비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avatar
    2020-09-22 김수열

    [질문]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접속시에 개인정보보호 및 SSL 통신이 보장되는지요?

  • avatar
    2020-09-22 Ryon

    [서비스나우]서비스나우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앱은 Native Application입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Auth 2.0을 사용한 플랫폼 인증을 지원합니다. (인증 메커니즘에는 다중 공급자 SSO, MFA, LDAP, 로컬 DB 및 다이제스트) 더 자세한 사항은 https://docs.servicenow.com/bundle/paris-mobile/page/administer/tablet-mobile-ui/concept/sg-mobile-security.html 참조 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avatar
    2020-09-22 토크잇

    [질문] 현재 더존 그룹웨어 + 오피스365 를 사용중입니다. 서비스나우가 그룹웨어 및 오피스365를 대체하는 것인가요?

  • avatar
    2020-09-22 조온문

    안녕하세요. 아닙니다. 단절되어 사용되고,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솔루션들을 서로 연결하고 통합 자동화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avatar
    2020-09-22 ThinkOfNext

    Edge computing 환경은 지금보다 더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Edge 를 대응하기 위한 제품/서비스 로드맵 공유가 가능하신가요?


  • avatar
    2020-09-22 박병수

    [질문]ITSM 관점에서 서비스 나우와 지라 제품과의 차별점이있나용?


  • avatar
    2020-09-22 정동화

    [질문] 요즘 화상회의 시스템이 재택근무의 한 일환으로 자리 잡고 있는대 서비스 나우에서는 이런 서비스를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