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atar
    2018-06-07 달란트

    범용 오토캐드에는 없는 다양한 기능들을 AutoCAD Electrical은 포함하고 있네요. AutoCAD로 설계하기에는 힘들겠네요...

  • avatar
    2018-06-07 SCK_2

    새로 출시된 AutoCAD 2019버전부터는 Electrical 뿐만 아니라 Architecture, Mechanical 등 다양한 Toolset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avatar
    2018-06-07 임상우

    AutoCAD electrical은.. 도면 만드는 것이랑 다른 건가요..

  • avatar
    2018-06-07 SCK_2

    AutoCAD electrical은 AutoCAD를 기본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기본적으로 CAD작업과 같이 도면을 작성합니다. 거기에 더블어 electrical분야에 특화된 라이브러리와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객체를 그릴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avatar
    2018-06-07 남기현

    와이어 이름을 AWG로도 가능한거죠??

  • avatar
    2018-06-07 SCK_2

    네 데모화면에 나온것과 같이 와이어 이름 변경 가능합니다.


  • avatar
    2018-06-07 김수열

    [질문] AutoCAD LT 2019 에도 Electrical이 포함되어 있나요? 라이선스 정책과 기준이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6-07 SCK_2

    Electrical은 이번에 출시된 One AutoCAD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AutoCAD LT 제외)


  • avatar
    2018-06-05 veron

    [질문] OSS DB의 관리 목적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데시보드가 제공이 되나요?
    아니면 운영을 위한 관리자 모드를 별도로 구축해야 하는건가요?

  • avatar
    2018-06-05 jmlim

    Azure상에서 알림설정,자동공지,DB엔진 모니터링등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 avatar
    2018-06-05 ironstone

    백업주기는 실시간 백업인가요? 특정 주기로 백업이 되는건가요?

  • avatar
    2018-06-05 김지영

    아래 URL에 보시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mysql/concepts-backup

    전체 백업은 매주 수행되고, 차등 백업은 하루에 두 번 수행되며, 트랜잭션 로그 백업은 5분마다 수행됩니다.


  • avatar
    2018-06-05 짱가

    (질문) mssql -> 다른 오픈DB 로의 마이그레이션할경우, 어느 오픈DB가 가장 마이그레이션하는데 쉬운가요 ?

  • avatar
    2018-06-05 jmlim

    오늘 세미나 소스DB중에선 MySQL/mariaDB 보다는 아무래도 상용DB의 native feature를 많은부분 제공하는 PostgreSQL이 마이그레이션시 조금 더 용이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6-05 김지영

    On-Prem환경의 SQL Server는 Azure Database for SQL Server Managed Instance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MI의 경우, 2005 - 2017까지 호환성을 지원합니다.)
    꼭 OSS로 전환하고자 할경우, 현재 무료로 제공하는 Azure DMS(Database Migration Service)를 통해 적합한 선택을 찾아 보시는 것도 방법일것 같습니다. https://azure.microsoft.com/en-us/services/database-migration/


  • avatar
    2018-06-05 차지용

    [질문] 몇년전에 오라클DB에서 타 DB로 POC를 진행한적이 있는데 어플리케이션 부분에 대한 마이그레이션부분이 해결해야 할 난제가 되었는데 기업입장에서 오픈소스 DB로 어떻게 추진해야 전혀 신경 안쓰고(?) 전환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6-05 김지영

    오라클 DB마이그레이션은 스키마 전환부터 Application 호환연동까지 만만치 않은 작업이 후속으로 따릅니다. 최근 Oracle DB의 경우 PostgreSQL로 마이그레이션시 가장 원할한 전환작업을 경험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 avatar
    2018-06-05 손석용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회계법인으로 부터 전산감사를 주기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오라클 등 공신력 높은 회사 제품을 미사용하고 OSS DB 기반으로 운영할 경우 감사인은 최소한의 보안과 인증 내역을 요구할 것 같습니다. 어떤 수준 이상의 보안과 인증은 받아야 한다는는 가이드나 국내/외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6-05 김지영

    보통 산업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인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서 일반적인 표준은 없습니다만, Azure Compliance에서 웹페이지에서 산업군별로 취득되어 있는 인증 종류를 확인해 보실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 avatar
    2018-06-05 조정태

    [질문] HCI 어플라이언스 (에져스텍) 기반의 private 서비스를 국내에서 받아 볼 수는 없는지요?

  • avatar
    2018-06-05 jmlim

    저희 회사 레퍼런스중 AzureStack기반의 private서비스(opensource solution) 구성 사례가 있습니다.

  • avatar
    2018-06-05 조정태

    국내에서 에져스텍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말씀 인가요?


  • avatar
    2018-06-05 김수열

    [질문] 오픈소스 DB로의 전환시 기존 암호화 데이터에 대한 마이그레이션 고려사항은 없는지요?

  • avatar
    2018-06-05 jmlim

    오픈소스DB에서 기존 암호화 데이터의 암호화 방식 지원여부를 확인해 보셔야할것 같습니다. 별도 3rd party 암호화 솔루션을 사용하신다면 솔루션이 오픈소스DB를 지원하는지 여부부터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 avatar
    2018-06-05 영미

    [질문] 국내 보안인증은 다른걸로 아는데 해외인증이 표준이면 국내서도 공공기관등 사용이 가능한지요?

  • avatar
    2018-06-05 김지영

    그렇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경우에서는 많은 부분 글로벌 인증이 통용될 수 있으나, 공공기관과 정부 관련 사업에서는 국내 인증이 별도로 필요하여, Azure에서도 별도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6-05 차지용

    [질문] 오픈소스 DB로 마이그레이션시 자동변환되지 않는 부분은 매뉴얼작업이 필요하다고 한다 하셨는데 스크립트형태로 진행하신다는 말씀인지요?

  • avatar
    2018-06-05 jmlim

    스크립트화로 자동화하는 부분은 일정부분은 가능해보이지만 DBA 또는 DB엔지니어의 변환작업이 필수적입니다.


  • avatar
    2018-06-05 원병찬

    [질문] 3 카피가 복제되고 있다면 같은 Region의 Datacenter에 복사가 되는지요? 아니면 다른 Region의 DC로 복사가 되는 건지요?

  • avatar
    2018-06-05 김지영

    서비스를 생성후 Datacenter내 또는 Datacenter와 Datacenter사이에서 복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6-05 형우

    다른 region으로도 선택이 가능한가요?


  • avatar
    2018-06-05 러버스레폴링

    [질문]오프소스DB 도입시 고려해야할 주요이슈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 avatar
    2018-06-05 bkbspark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려사항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성능
    2. 기존 사용 DB운영시 호환성에 따른 APP 재개발 여부
    3. DB이슈 관리방법
    4. 여러 DB종류에 따라 서비스에 적합한 DB의 선택
    5. DB 특성에 따른 백업복구 방안
    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 avatar
    2018-06-05 김희수

    (질문)주로 Oracle의 유지보수 비용으로 인해 Open DBMS로 Mig를 준비하는데요.
    MS에서 DBMS mig관련 툴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로 Data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거 같습니다. 기타 업체 툴도 그렇고요.
    혹시 APP 개발 Source Code 내의 Query문들에 대한 변환 툴은 없나요?

  • avatar
    2018-06-05 jmlim

    아직까지는 오픈소스DB로의 마이그레이션시 자동변환되는 툴은 지원되지 않고 있습니다. 스키마,데이터의 경우는 자동변환이 되지만 오브젝트 ,쿼리등은 매뉴얼 작업이 필요합니다.


  • avatar
    2018-06-05 veron

    [질문] 오픈 소스 DB에 대한 유지보수나 버전이 업그레이드 될 경우 벤더사에서 이 모든 것에 대한 것을 보장하여 제공하여 주시는 건가요?

  • avatar
    2018-06-05 김지영

    라이선스 구매를 통해 유지보수 및 긴급 패치/업그레이드 등은 벤더사에서 지원하지만, 해당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끝난 경우에는 긴급 패치나 업그레이드에 대해서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 avatar
    2018-06-05 박병수

    [질문}오픈 소스 기반 DB를 사용할 시에 엔터프라이즈 기업에서는 유지보수나 기술지원이 문제가 될텐데요.이런부분은 어떻게 대응 할 수있을까요?

  • avatar
    2018-06-05 jmlim

    상용버전의 경우 벤더측 서포트가 가능하지만 오픈소스버전의 경우 벤더의 서포트가 어렵기 때문에 엔터프라이즈 기업에서는 저희와 같은 파트너사를 통하여 기술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활성화된 오픈소스커뮤니티에서 관련 지식등을 얻으실수도 있습니다.


  • avatar
    2018-06-05 짱가

    ( 질문 ) 개발측면에서, net, java, python등등 지원 가능한 DB 는 어떤것이 있나요 ?

  • avatar
    2018-06-05 bkbspark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관련 질문은 다음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PostgreSQL :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postgresql/concepts-connection-libraries
    MySQL :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mysql/concepts-compatibility


  • avatar
    2018-06-05 정성수

    상용 DB를 사용하는 것보단 비용면에서는 오픈소스 DB를 도입하는게 좋을 것 같은데, 안정성이나 보안관련해서는 어떤가요?

  • avatar
    2018-06-05 jmlim

    최근의 오픈소스DB도 오픈소스커뮤니티등의 활성화로 안정성이나 보안측면에서 크게 향상이 되었습니다.
    가격적인 측면은 어떠한 서비스에서 어떤 아키텍처로 구성하느냐에 따라 비용이 크게 절감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