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글로벌 공장 설비/라인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원격 제어 환경을 구축하시면서
애로 사항이나 문제점은 없으셨는지요?
- 데이터 수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조치에 대한 원격 제어 방법
- 실폐 사례 vs. 성공 사례와 그리고 추가 개선할 점 등
(노후화 공장, 자동화 등 설비 차이에 대한 지표 기준 등)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후 디지털 트윈으로 가기 위해 시뮬레이팅, 에뮬레이팅 등
설비 제어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만이 아닌, 미래 예측을 위한 설비 제어/관제 알고리즘 등
설비 개발사와 어떤 방식으로 공유 및 협업을 잘 해나가 셨는지 사례 중심으로 소개 부탁
드립니다.
1.의미있는 데이타를 수집하여 현업에서 예측 시뮬레이션에 활용한 사례가 있는지요?
2.현장에서의 데이타 수집은 디지털방식인지,사람이 수작업으로도 하고 있는지?
3.제조 현장이 아닌 연구소에서는 데이타 수집량이 적은데..적은 데이타로 개발하면서 의미있는 활용사례가 있는지?
타사제품에 비해서 뭐가다른지궁금합니다.솔루션을 하는 목적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DGX Super PoD 대한설명좀해주세요...보안문제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요즘 가상환경을 통한 고객 맞춤형 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는 데, 정작 가상환경을 이끌어주는 기기들에 대한 교육은 사전에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VR 고글이나 햅틱디바이스 들을 쉽게 다루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전 교육 프로그램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인텔의 강점 중 하나는 MKL 같은 라이브러리라고 생각하는 데,
GPU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 이를 활용하는 라이브러리도 포함되나요?
그렇다면 NVDIA 계열 GPU와의 호환성과 관련해서는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나요?
[질문] 공급망은 선적할 때 등록하고 품질관리하고 enroll하는 과정에 시간이 너무 많이 지체되고 그과정을 거친후 모니터링하고 변화관리를 하는데 고객과 공급자와 공급자 총판 등 3자 모두에 가시성을 제공하는 부분이 가장 관리가 어려운데 이렇게 협업이 어렵고 물품관리가 어려운것이 현실인데 물품에 대한 사전db를 관리하면 관리하고 등록하고 모니터링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은데 opentext는 이런 공급물품에 대한 db를 내부적으로 관리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