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Query 를 여쭈시는 거라면 하나의 수식으로 딱 잘라 말씀드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전체 위크로드의 1/10 또는 1/100 정도로 PoC를 해보는 것이 가장 좋고, 그게 어렵다면 기존 리소스 사용 정도, 전체 데이터량, 하루 쿼리하는 양 정도로 대략 가늠할 수는 있습니다. GS 네오텍으로 연락 주시면 산정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글로벌 공장 설비/라인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원격 제어 환경을 구축하시면서
애로 사항이나 문제점은 없으셨는지요?
- 데이터 수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조치에 대한 원격 제어 방법
- 실폐 사례 vs. 성공 사례와 그리고 추가 개선할 점 등
(노후화 공장, 자동화 등 설비 차이에 대한 지표 기준 등)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후 디지털 트윈으로 가기 위해 시뮬레이팅, 에뮬레이팅 등
설비 제어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만이 아닌, 미래 예측을 위한 설비 제어/관제 알고리즘 등
설비 개발사와 어떤 방식으로 공유 및 협업을 잘 해나가 셨는지 사례 중심으로 소개 부탁
드립니다.
1.의미있는 데이타를 수집하여 현업에서 예측 시뮬레이션에 활용한 사례가 있는지요?
2.현장에서의 데이타 수집은 디지털방식인지,사람이 수작업으로도 하고 있는지?
3.제조 현장이 아닌 연구소에서는 데이타 수집량이 적은데..적은 데이타로 개발하면서 의미있는 활용사례가 있는지?
타사제품에 비해서 뭐가다른지궁금합니다.솔루션을 하는 목적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DGX Super PoD 대한설명좀해주세요...보안문제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요즘 가상환경을 통한 고객 맞춤형 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는 데, 정작 가상환경을 이끌어주는 기기들에 대한 교육은 사전에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VR 고글이나 햅틱디바이스 들을 쉽게 다루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전 교육 프로그램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인텔의 강점 중 하나는 MKL 같은 라이브러리라고 생각하는 데,
GPU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 이를 활용하는 라이브러리도 포함되나요?
그렇다면 NVDIA 계열 GPU와의 호환성과 관련해서는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나요?
[질문] 최근 오픈소스를 많이 쓰는 추세인데 비용 최적화를 위한 선택으로 오픈소스를 무턱대로 쓰다간 또 이후 장애관리나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더군요~ 빅쿼리를 선택 시 최적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