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글로벌 공장 설비/라인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원격 제어 환경을 구축하시면서
애로 사항이나 문제점은 없으셨는지요?
- 데이터 수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조치에 대한 원격 제어 방법
- 실폐 사례 vs. 성공 사례와 그리고 추가 개선할 점 등
(노후화 공장, 자동화 등 설비 차이에 대한 지표 기준 등)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후 디지털 트윈으로 가기 위해 시뮬레이팅, 에뮬레이팅 등
설비 제어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만이 아닌, 미래 예측을 위한 설비 제어/관제 알고리즘 등
설비 개발사와 어떤 방식으로 공유 및 협업을 잘 해나가 셨는지 사례 중심으로 소개 부탁
드립니다.
1. 연결시점에서 데이터를 맵핑하는데에 점검및 검수에 시간이 소요되었을것으로 생각되지만 LGES에서 스마트팩토리를 어느정도 고도화 해놓은 상태였고, PTC솔루션을 최대한 활용하여 연결성을 극대화 시키는데 많은 분들이 신경써주셨습니다. 나아가 데이터 분석및활용에 고민할 시간이 필요할 것 같고, PTC솔루션을 활용하여 도움을 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2. 데이터 활용 및 분석, 나아가 예방정비를 하는 것은 데이터과학이 접목되어 다양한 협력업체 및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며, PTC 플랫폼으로도 다양한 부분들을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가능합니다.
1.의미있는 데이타를 수집하여 현업에서 예측 시뮬레이션에 활용한 사례가 있는지요?
2.현장에서의 데이타 수집은 디지털방식인지,사람이 수작업으로도 하고 있는지?
3.제조 현장이 아닌 연구소에서는 데이타 수집량이 적은데..적은 데이타로 개발하면서 의미있는 활용사례가 있는지?
타사제품에 비해서 뭐가다른지궁금합니다.솔루션을 하는 목적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DGX Super PoD 대한설명좀해주세요...보안문제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클라우드에서는 사용한 만큼 서비스료를 지불하는 방식인데 실제 협력사들은 하드웨어 물리적인 수량 대수 등으로 정산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객과 협력사간의 차이가 없이 합리적으로 정산하는 방안이 있을 까요? GPU 같은 경우 주사업자가 물리적으로 대수를 구매를 하고 고객에게 사용량에 따라 리스처럼 청구해야 하나요? 고객이 생각한만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미리 떠안게되는 리스크가 너무 커서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