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atar
    2019-06-04 취업준비생

    mssql 이 아니라 오라클의 rac 같은 기능입니다. mssql 에는 Replication 이네요

  • avatar
    2019-06-04 락플레이스_pg2

    오라클의 RAC의 경우 하나의 Shared Volume으로 사용하지만
    PostgreSQL의 경우 멀티 Active 서버로 이중화 구성이 불가능합니다.


  • avatar
    2018-09-05 김홍준

    [질문]백업어플라이언스와 백업소프트웨어와 기능상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 avatar
    2018-09-05 rebemin

    백업어플라이언스는 infoscale이 포함이 되어 있으며 해당기능을 사용하여 블럭기반중복제거등 여러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9-05 김해연

    [질문]기존에 netbackup 제품으로 랜덤웨어 방어를 할 수 있나여? 업그레이드를 해야하나여? 아니면 새로 구매를 해야할까요?

  • avatar
    2018-09-05 rebemin

    NetBackup appliance 2.6.0.2 소프트웨어 버전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9-05 정선우

    [질문]랜섬웨어 조기 대응 관점인 듯 한데, 그러한 징후를 어떻게 인지하는 건가요? 관리자의 감이나 노우하우인가요, 아니면 해당 기능이 있는 건가요?

  • avatar
    2018-09-05 rebemin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DCS기능에 IDS( 침입탐지시스템)/ IPS(침입방지시스템)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9-05 김홍준

    [질문]백업어플라이언스는 일반적인 스토리지의 중복제거나 압축등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나요?

  • avatar
    2018-09-05 rebemin

    백업어플라이언스는 중복제거(소스,타겟) 및 압축을 기능을 모두 제공 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9-05 달란트

    ●당사는 랜섬웨어 2년 주기로 3회 피해를 받았습니다.

    랜섬웨어 감염의심 대응 절차 맞는지요?
    1) 랜선 먼저 뽑는다.
    2) 컴퓨터 강제 종료한다.
    3) 컴퓨터 안전모드 켠다.
    4) 바이러스 업체 전화하여 치료를 받는다.
    ※당사는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모든 작업 파일은 읽기 전용으로 설정을 해놓았습니다.
    읽기 전용으로 하면 100% 안전이 보장이 되는지요?

    아니면 귀사의 제품을 구매하면 상기 절차는 모두 무시해도 되는지요?
    좋은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 avatar
    2018-09-05 김완수

    컴퓨터 전원을 뽑는게 랜선 뽑는것 보다 더 우선이 아닐까요..?


  • avatar
    2018-09-05 김홍준

    [질문]랜섬웨어 대응을 위해 백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백업을 해야하는 데이터양이 많고 그 만큼 백업시간도 길어지는데 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avatar
    2018-09-05 rebemin

    베리타스 백업어플라이언스는 고속의 파일 백업(Accelerator) 과 Copilot기능 등을 통하여 획기적으로 백업시간의 단축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9-05 명동스레빠

    [질문]랜섬 대응이 현재까지는 변경 시점별 OS, DATA 백업 외에는 방법이 없는가요?
    무한정 백업을 받는것도 어리둥절 합니다.

  • avatar
    2018-09-05 rebemin

    베리타스 백업어플라이언스에서는 Symantec Data Center Security(SDCS)를 사용하여 랜섬웨어에 대한 사전 탐지 및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avatar
    2018-09-04 wanzo

    대부분의 금융기관에서 OTP를 사용중인데
    대부분 모듈형이나 카드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OTP를 적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었인가요?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의성이 우선일 수도있는데 금융회사입장에서는 비용의 문제 인가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은행 대고객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OTP는 금결원을 통해 관리되고, HW OTP만 대상으로 합니다. 그 외 은행내부에서 사용 중인 OTP는 스마트폰 OTP도 많이 사용하십니다.


  • avatar
    2018-09-04 이영이

    [질문]최근엔 생체 정보 뿐만 아니라 알고 있는 보안도구까지 이중으로 보안관리를 하는데 귀찮고 불편해서 SSO처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인증솔루션은 없을까여?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Risk 기반 인증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용자의 접근 위험도가 낮다면 접근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9-04 러버스레폴링

    [질문]다양한 인증방식 적용은 금융관련 업계는 적용할수있는 사례가 많을것 같은데, 그외 유통업이나 여타 업종은 적용했을때 기대효과가 무엇일지 잘 추측이 안되는데, 어떤 사례가 있나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유통업이나, 제조업체와 같은 경우는 협력업체 등 인증 직군에 따라 차별화된 인증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9-04 한관준

    MFA를 기능도입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까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문제점 보다는, 인증수단의 종류와, 위험 판단 기준에 대한 정책을 잘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avatar
    2018-09-04 성민유

    [질문]인증서 발급 담당자입니다. 가끔 발급하다보면 악의적으로 공인인증서를 무작위 발급해도 문제가 생기지 않을거 같은데 , 담당자 및 운영자의 책임감이 중요할 거 같운대 오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해당 경우는 사설인증센터를 구축하신 사례이신 것 같은데, 인증서 발급 시 로깅기능을 추가하셔서 모니터링 하시면 보안을 강화하실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9-04 ichois

    [질문]실제로 사용자는 앱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복잡하지 않게하려면 입력도 몇가지로 제한해야 할텐데 가능할까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Risk 기반 MFA를 구축하실 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접속IP, 브라우져, GeoIP 등 접속환경과 기존 히스토리 정보를 참조하여 Risk를 판단합니다.


  • avatar
    2018-09-04 김정웅

    질문] 데스크탑가상화구현시 각 사용자들마다 보안인증을 어떻게 세분화하여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VDI 구축 시 OTP를 통해 인증하실 수 있도록 구축한 사례는 많이 있고, 인증 후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접근 링크를 달리하도록 구현하시기도 합니다.


  • avatar
    2018-09-04 가는거야

    [질문] 보안위주의 인증도 중요 하지만, 사용자 관점의 인증에서 App 과 Web과 구분없이 인증서를 share 할수 이있는 솔루션적인 방안이 존재 하는지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금일 소개된 솔루션은
    인증서를 Share 하는 방법은 아니지만, AnyDevice에 대한 인증을 통합할 수 있는 솔루션 입니다.

  • avatar
    2018-09-04 가는거야

    "AnyDevice에 대한 인증"라면 결과적으로 내부 SSO연동을 결과적으로 구축.. 아쉽군요~~


  • avatar
    2018-09-04 정선우

    [질문]이후 모델, 차세대 솔루션 개념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현재 설명되고 있는, RSA 포트폴리오 부분 참조 부탁드립니다.


  • avatar
    2018-09-04 다훈박

    질문 OTP랑 지문인식과 연동하여 사용 가능할까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MFA의 인증요소로 OTP, 지문인식 모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avatar
    2018-09-04 원병찬

    [질문] 몇년전 RSA 해킹된 사례가 있어서 모든 토큰을 바꾼적이 있습니다. 그건 하드웨어토큰 때였었나요? 말씀하실때 토큰이 현재까지 뚫린적이 없다고 하셔서.....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기억하시는 사례는 OTP 기술 자체의 취약점이나 해킹이 아니라, OTP 관리 정보에 대한 부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avatar
    2018-09-04 형우

    네네, 그래서 하드웨어 토큰 전세계적으로 다 바꾸는 해프닝이 있었던 거군요. 감사합니다.ㅎ


  • avatar
    2018-09-04 명동스레빠

    [질문]모바일 분실시 재 발급시 본인 인증 절차는

  • avatar
    2018-09-04 projh

    [답변] 안녕하세요?RSA 입니다.
    모바일 OTP를 사용하시다가 분실하시는 경우, 신규 모바일 내에 OTP를 신규로 설치하셔야 하며, 신규 모바일을 준비하시는 동안 메일형식의 임시 OTP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